세상은 스토리 텔러 (포토 에세이 블로그)
용기 (II) 본문
조금씩이라도 매일 써보자고 마음먹습니다.
최소한 일기는 빼먹지 말고 쓰고, 하루에 30분, 1시간이라도 아무거나 써보고자 합니다.
그러면 일단 글쓰기의 두려움은 사라지고, 흩어져 있던 생각은 모이고 끊어졌던 생각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처음엔 어설픈 생각에 글이 횡성수설의 넋두리뿐일 것입니다.
허나 그 순간을 넘어 조금 더 전진하면 뭔가 지향점 있는 짧은 단문 하나가 손에 쥐어집니다.
조금만 더 나아가면, 어떤 주제에 대해 거칠게나마 자기 생각을 펼칠 수 있습니다.
그 뒤엔 잠시 쉼표를 가져봅니다.
다음 날 다시 들여다보고 생각의 뼈대를 곧추세우며 살을 붙이고 웃음기를 글에 담아봅니다.
그러면 내용도 조금 있고 읽는 재미도 살짝 느껴지는 글 한편이 완성됩니다.
헤밍웨이의 말처럼, “초고는 다 쓰레기”입니다. “10만 문장을 버려야 10만 문장을 새로 얻는 게 글쓰기”라 합니다.
“무식하면 용감하다”라고 쓰기를 두려워말고 일단 글쓰기를 시작해 봅니다.
그런 무식함이 생각의 전개에 용기를 줍니다. 글의 전개에 자신감이 조금씩 붙습니다.
처음엔 쭈뼛쭈뼛하던 어설픈 글이 어느 순간 완성된 글을 향해 조금씩 스스로 달려 나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다음날 고치고 그 다음날 또 고치면 뼈대도 있고 여운이 남는 글 한편이 완성됩니다.
글에 대한 남의 평가를 두려워할 이유는 없습니다.
남의 글에 신랄한 면박을 주는 사람들도 다 이런 과정을 거치며 어렵게 글을 쓰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서로의 글에 대해 날카롭게 비평하되, 동병상련의 마음에서 위로와 격려의 말을 나누는 것도 잊지 말아야겠습니다.
그러면 우리 모두의 글쓰기가 자유로워지고 발전하겠죠.